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대변기의 세척급수 방식 : 로우탱크식, 플러시 밸브식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변기의 세척급수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방식들이 있지만, 오늘은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로우탱크(세정탱크)식과 플러시 밸브(세정 밸브)타입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로탱크식(Low tank system) -세척량이 많고 공간 점유율이 크지만 소음발생이 적은 편이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 합니다. 물을 저장하였다가 세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연속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재사용 하는데 60초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곳이 아닌 주택이나 호텔의 객실 등에 사용이 됩니다. 저희 모든 가정에 있는 대변기는 로탱크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통이 있는것. .! -탱크의 용량은 절수형은 9L이하, 보통은 11~15L정도 입니다... 더보기
FED? 통화정책에 대하여(FOMC, ECB) 세계가 시끌시끌한 가운데 경제부양을 위한 어떠한 정책이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각 나라의 통화정책이 어떻게 변하는지에도 관심을 갖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각 나라의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기구는 어떻게 될까요? FOMC,ECB,BOE, (일본패스)가 있습니다. 이번 3월에 ECB통화정책회의와 FOMC가 예정 되어 있는데요. 어떤 주제가 오가고 의사결정이 될지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통화정책 회의(Federal Open Msrket Committee :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산하에 있는 공개시장 조작 정책의 수립고 집행을 담당하는 기구입니다.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례회의는 1년에 8회 워.. 더보기
글로벌 불균형, 플라자협의-일본의 잃어버린 10년에 대하여 오늘은 1980년대 제조업 강국이였던 일본이 어떻게 잃어버린 10년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오늘날 우리도 교훈을 삼을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결국에는 미국과의 힘싸움에서 밀려 이러한 침체기를 맞게 됬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 과정을 한번 살펴 보시죠~! ◈발단 1980년대 제조업 강국이 였던 일본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경제의 수준이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세계적으로 일본의 전자제품이 인기를 얻고 많은 수익을 누리고 있었던 시기 였죠. 반면 미국은 1970년대 오일 쇼크로 인하여 물가가 크게 오르게 되니 금리를 20%까지 올리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죠 그러다 보니 고금리인 달러의 가치가 오르게 되고 이로 인해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달러의 가치가 오르다보니 미국제품이 수출 경쟁력.. 더보기
공기조화 방식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설비 부분에서 공기조화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꾸준히 지식을 쌓아 가다보면 분명한 시너지가 발생되는 시간이 올거라 생각을 하며 오늘도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기조화 방식의 분류 중앙식 전공기식 : 단일덕트, 이중덕트식, 멀티존 유니트식 수공기식 : 각 측 유니트식, FCU(덕트병용), 유인 유니트식, 복사패널식 전수식 : 팬코일 유니트식이 있습니다. 개별식 패키지 방식(냉매)방식이 있습니다. -전공기 방식의 특징 덕트 설비가 증가하고 동력비가 증가하며 배열회수장치를 이용하기 쉽습니다. 외기도입이 쉬워 실내 청정도가 높고 설비가 기계실에 집중되어 운전, 보수, 유지관리가 용이합니다. 외기냉방이 가능하고 고성능 필터 사용이 가능하고, 겨울철 가습이 .. 더보기
글로벌 증시 폭락사 학습효과로 개미의 승리? ◈역사 속의 증시 폭락 1929년 폭락, 1987년 폭락, 2008년 폭락 등이 있습니다. 이들 증시의 하락폭은 1929년 10월엔 미국 다우지수가 이틀간 23% 급락했고, 1987년 10월엔 하루에 무려 22.6% 폭락했습니다. 그래서 대폭락이라고 부르곤 합니다. 이들 증시 폭락의 배경과 원인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1929년 폭락은 경제 대공황으로 이어졌고, 1987년 폭락은 월요일에 발생했다고 해서 블랙먼데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2008년 폭락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 되었습니다. ◈현재 증시의 흐름 27일 미국 증시에서 다우지수는 하루에 -1190.95포인트 -4.4% 폭락을 했습니다. 다우지수 136년 역사살 최대 하락폭이라고 합니다. 조금더 살펴보면 24일 다우지수 -1031.61포인.. 더보기
자동제어 용어 정리 및 종류와 특징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설비에서 자동제어의 용어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모든 공부의 기초가 되는것이 용어이지 않겠습니까.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가 보도록 합시다~^^ ◈자동제어 용어 정의 목표값(설정치) 제아량이 갖도록 할 값으로 외부에서 주어지는것(EX.온도 300도 / 압력 1MPa 등) 기준 입력 요소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이며 목표값에 다ㅐ하여 일정한 관계를 갖습니다. 비교부 피드백 제어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입력과 출력을 비교 동작신호를 내는것 입니다. 제어요소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조절부 : 동작신호로부터 제어계 작용에 필요한 신호를 조작부에 보냅니다. 조작부 : 조절부로부터 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화시켜 제어 대상에 보냅니다. 검출부(피드백 요소) 제어량을 검출하여 .. 더보기
펌프현상(서징,공동현상,수격작용) 및 종국유속,종국장,조수현상에 대하여 펌프현상(서징,공동현상,수격작용) 및 종국유속,종국장,조수현상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설비 부분에서 위생과 관련된 몇가지 부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생부분에서 펌프와 배관의 종국유속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으니 공부하시는데 또는 일상에서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먼저 펌프의 현상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축물과 우리의 일상에서 펌프는 다방면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유용하게 쓰이는 만큼 펌프의 여러가지 현상들도 있겠죠? 오늘은 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동현상 또는 캐비테이션이란 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한 압력변화로인해 유체 내에 공동이 생기는 현상을 말하며 공동현상이라고도 합니다. 공동현상은 빠른 속도로 액체가 운동할 때 즉, 펌프의 회전수가 높은 반면 그에 .. 더보기
건축화 조명, 음의 성질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설비를 공부하면서 헷갈렸던 부분 용어에 대해서 짧막하게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공부는 참 하면 할수록 어려운것 같습니다. 전문가가 된다는 것도 그만큼 어려운 길이겠지요?? 한 걸음 한걸음 나아가다보면 반드시 모두가 꿈을 이룰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순간에도 공부하고 노력하는 분들이 결실을 맺기 바라며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구조에 대한것인데 현수구조, 트러스트 구조 셸구조등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셸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셸구조 : 얇은 곡면의 판을 외각으로 사용한 구조. 외력이 면 내를 흐르는 힘에 의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가볍고 강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주 사이가 먼 건물의 지붕이나 용기 등에 사용됩니다. 체육관·공장·창고·극장·격납고 등에 이용되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