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전자 산업의 쌀-MLCC 및 관련주를 알아보자.
◈MLCC란 무엇인가?
적층세라믹콘덴서 (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 전기적인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제품에 쓰이는 콘덴서(=축전기=캐패시터)의 한 종류로 금속판 사이에 전기를 유도하는 물질을 넣어 전기를 저장했다 필요에 따라 회로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MLCC는 콘덴서를 여러 층으로 쌓아서 만든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리하다. 전기차 등은 안정적인 전류 흐름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량의 MLCC를 필요로 한다.
MLCC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층(세라믹 유전체)과 전기가 통하는 층(내부 전극)을 교대로 쌓아서 만든다. 대용량 MLCC를 구현하려면 전기가 통하는 층과 통하지 않는 층을 교대로 쌓는 적층수를 늘려야 하며, 동시에 사이즈를 줄여야 스마트기기를 보다 얇게 만들 수 있다.
MLCC는 전류 수급을 조절하는 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전자제품 내에서 전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조절하고 부품간의 전자파 간섭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전압이 원치 않는 방향으로 요동치는 현상)를 제거해 전자제품의 수명이 오래갈 수 있도록 한다.
전자신호가 자동차이고,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를 PCB(인쇄회로기판)라 하면, MLCC는 도로의 신호등 or 표지판이라 할 수 있다. 전자신호가 어디로, 얼마나 가야 할지 조절 해주는 역할을 한다.
MLCC는 전자 부품 중 가장 작은 크기로 모래알 크기지만, 300㎖ 와인 잔에 채우면 1억원 이상 가치를 지닐 정도로 고부가 제품이다.
◈MLCC관련 대표주
1.삼성전기
수동소자 등을 생산/판매하는 컴포넌트솔루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등을 생산/판매하는 모듈솔루션, 반도체패키지기판, 고밀도다층기판, PLP 등을 생산/판매하는 기판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것을 보니 삼성전자가 하만을 인수했을때가 떠오르네요. 미래 전기차의 전장 부품에 주도권을 잡기 위한 모습을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소프트웨어나 자율주행기술로는 많이 부족하니...
2.삼화콘덴서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적층 콘덴서, Chip Inductor 를 생산
향후 하이브리드부품 개발-전기자동차용 세라믹 커패시터 모듈, 슈퍼콘덴서 - EDLC부품, 내장형 커패시터용 고신뢰성 복합체 등을 개발을 할 예정이며, 정지형무효전력보상장치 시장 등을 진출할 예정
전기차는 대세다!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T의 떠오르는 강자,디지니플러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4.22 |
---|---|
정부뉴딜정책, 5G+ 전략를 살펴보다. (0) | 2020.04.22 |
정책테마주-발전주(풍력)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4.20 |
한한령 무엇? 해제시 중국 소비관련주(화장품,콘텐츠)는? (0) | 2020.04.18 |
긴급재난지원 결제수단으로 급부상하는 제로페이(핀테크)의 관련주는? (0)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