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쿨러 설비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에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고층건물,지하층, 무창층 등의 소방차 진입이 곤란한 곳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시 97% 이상을 진화시키는 설비입니다.
◈설비종류
1. 폐쇄식
헤드 끝이 막혀 있고 배관 내에는 항상 물이나 압축 공기가 차 있어 용융펴닝 녹으면 곧바로 물이 방사되는 방식입니다.
폐쇄식에는 습식과 건식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습식 : 수원에서 헤드까지의 전 배관에 물이 채워져 있어 용융편이 녹자마자 곧바로 물이 방사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겨울에는 얼지 않도록 보온이 요구됩니다. 이 방식의 단점은 동파 및 누수의 우려가 있습니다.
-건식 : 수원에서 공기 밸브까지만 물이 채워 있고 공기 밸브에서 헤드까지는 압축공기가 채워 있다가 용융편이 녹으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자동적으로 공기 밸브가 열려 급수가 됩니다. 프리액션 밸브를 이용하여 공기 밸브 전환으로 물이 공급되는 방식 입니다.
2. 개방형
폐쇄형 스프링클러로는 효과가 없거나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 개방된 헤드를 설치하고 감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의해 작동시키거나 혹은 소방차 송수구와 연결하여 소화하는 방식입니다.
◈설비기준
-헤드 방수압력 : 0.1MPA이상
-표준 방수량 : 80L/MIN
-저수량 : 표준방수량 *20분*동시사용개수
-헤드 1개의 소화면적은 10m^2으로 한다.
-지관1개에 설치하는 헤드수는 8개 이하이다.
-하향식 헤드를 설치할 경우 헤드에 찌꺼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회향식 배관을 한다.
-헤드연결 배관에서 강관나사식 연결 방식에서 플렉시블 튜브를 이용하는 방식이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다.
'소방설비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의 소화설비 (0) | 2021.05.17 |
---|